지난 20일부터 전북을 폭풍 속으로 몰아 넣었던 ‘탄소소재법’ 논란이 해피엔딩으로 막을 내렸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27일 전북 정읍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 연구소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탄소소재법’ 개정안을 1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지난 2017년 8월 25일 바른미래당 정운천 의원(전주을)이 ‘탄소소재 융복합기술 개발 및기반 조성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탄소소재법)을 발의한지 꼬박 2년만에 전북에서 옥동자를 낳았다.
그러나 전북도 송하진 지사가 전북의 미래 100년의 먹거리를 책임지겠다는 각오로 시작된 ‘탄소소재법’ 추진은 쉽지 않았다.
전북 고창이 고향인 미당 서정주 시인의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그렇게 울었나보다.’라는 ‘국화 옆에서’ 시 구절을 떠올리게 할 정도였다.
처음에는 송하진 지사가 추진하고 전주을이 지역구인 정운천 의원이 발의한 이유를 들어 ‘탄소소재법’은 전북의 지역사업 이라는 인식때문에 자유한국당이 법안통과에 반대했다.
‘탄소소재법’이 발의된지 2년동안 국회 법사위 창고에 방치된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한국당 김진태 의원이 법사위에서 정무위로 자리를 옮기면서 ‘탄소소재법’ 국회 통과 가능성이 타진되기 시작됐다.
민주당 이춘석 의원과 바른미래당 정운천 의원 등 전북 의원들은 이틈을 파고 들었다.
한국당 법사위 김도읍, 장제원 의원을 적극 설득해 극적으로 ‘탄소소재법’이 지난 20일 법사위에 상정될 수 있도록 했다.
이춘석, 정운천 의원이 정당을 달리하고 있지만 현재 9부 능선을 넘어선 ‘탄소소재법’ 통과 과정에서 송하진 지사와 함께 일등공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탄소소재법’의 국회 통과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예상됐던 한국당이 적극 찬성하자 이번에는 민주당이 원칙을 내세우며 지난 20일 법사위에서 반대하는 누구도 예상치 못한 돌발변수가 발생했다.
민주당 반대의 충격은 전북을 들끓게 만들었고 전북의 야당인 평화당도 크게 반발하는 등 ‘탄소소재법’을 둘러싼 논란은 4·15 전북 총선구도마저 흔들 태세였다.
이때부터 송하진 지사와 민주당 이춘석 의원의 힘의 정치력이 진가를 발휘하기 시작했다.
민주당과 기재위의 반대로 ‘탄소소재법’이 법사위에서 계류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춘석,송하진 지사는 전북의 민심을 민주당에 전달하고 강력히 항의했다.
민주당이 당정협의회에서 ‘탄소소재법’을 12월 임시국회에서 통과 시키겠다는 입장을 정리하는데 불과 이틀밖에 걸리지 않았다.
전북 정치권 모 인사는 “모든 것을 밝힐 수는 없지만 송하진 지사와 이춘석 의원의 노력을 빼놓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
특히 전북 현안해결을 위한 평화당의 강력한 의지도 민주당이 당정협의회까지 열어 ‘탄소소재법’의 국회 통과에 적극 나서는 계기를 마련했다.
평화당은 국회 법사위에서 민주당과 기재부의 반대로 ‘탄소소재법’이 계류되자 정부와 민주당에 정치적 공세를 펼쳤다.
전북 정치권 모 인사는 평화당에 대해 “전북 발전을 두고 여야 양날개론의 주장이 틀리지 않았음을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