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정부정책

    산업부 내년 예산 9조 4367억원 확정…소·부·장 분야 대폭 증액
    관리자 | 2019-12-13 | 조회 1230

    산업통상자원부의 내년도 예산이 9조 4367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이는 올해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우리 경제 활력제고를 위해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범정부 차원의 기조가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내년 산업부 예산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우선 소재·부품·장비 산업 지원 예산이 올해 6699억원에서 1조 2780억원으로 대폭 증액됐다특히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예산은 6027억원으로 올해보다 2.5배 증가했다전략소재자립화 기술개발사업 등 신규 사업 예산도 예정대로 확보됐다.

     

    정부는 핵심 소재와 부품의 신속한 자립화를 위해 관련 사업 착수 절차를 단축하는 등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핵심산업(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과 로봇·수소경제 등 신산업 분야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 예산도 증액됐다.

     

    시스템반도체의 경우 올해 472억원에서 내년에는 1096억원으로바이오헬스도 863억원에서 1533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미래차 역시 1442억원에서 2227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로봇과 수소경제 분야 예산은 올해 991억원과 530억원에서 내년에는 1268억원과 943억원으로 증액됐다.

     

    수출활력 회복을 위한 예산도 증가했다대표적으로는 무역금융 분야가 내년엔 2960억원으로 올해 350억원의 8.5배에 이른다통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예산도 올해 92억원에서 내년에는 234억원으로 늘었다.

     

     

    에너지전환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이 1조 2071억원 규모로 확대된 점도 눈에 띈다산업부는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과 금융 지원핵심기술개발 등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에너지안전과 에너지복지에 대한 부분도 각각 올해보다 2026억원, 2563억원 증액돼 관련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다.

     

    이밖에 지역산업 지원을 위한 예산과 지역투자 활성화를 위한 보조금 지원 예산도 증액됐다특히 지역투자촉진과 산업단지 환경조성 예산은 1481억원과 3401억원에서 2137억원과 4309억원으로 늘었다.

     

    산업부는 내년도 예산이 혁신성장과 경제활력 촉진을 위해 대폭 증액된 만큼 신속한 집행이 가능하도록 사업계획 수립 등에 있어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