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보도자료

"전북, 국가 탄소산업메카로 키워야" - 전북중앙 2019.8.19.
관리자 | 2019-08-20 | 조회 2334


"전북, 국가 탄소산업메카로 키워야" 



日부품소재규제 위기몰려
전북 탄소섬유기술 유일해
탄소법개정안 조속 통과로
탄소진흥원설립 전략짜야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전북 탄소산업이 시험대에 오른 가운데, 이를 육성하기 위한 기반구축 마련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전북이 갖고 있는 탄소섬유 생산 기술력이 국내 유일로 평가되고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전북을 국가 성장동력인 탄소소재산업 메카로 육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2년 넘게 국회에 계류된 탄소소재법 개정안의 통과와 함께 정부가 국가차원의 탄소 컨트롤 타워인 탄소산업진흥원을 조속히 설치해 탄소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탄소섬유는 자동차와 항공기 분야에서 초경량 첨단소재로, 4차 산업의 핵심부품이다.

전주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은 2008년 ㈜효성과 공동개발에 나서 2011년 범용 탄소섬유 국산화 개발에 성공, 전주공장에서 해마다 2천t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이 핵심부품 소재의 한국 수출을 막아 국내 산업 전반에 우려가 커지고 있어 첨단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전북에 대한 정부 지원이 최우선 과제다.

실제로 탄소소재법 개정안은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이다.

탄소산업 육성의 토대가 될 국가차원의 탄소산업 컨트롤타워인 탄소산업진흥원 설립을 위한 근거가 담겨있는 법안은 산업부가 진흥원 설립을 반대하면서 지지부진하다.

일각에서는 타시도 반발로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발목을 잡으면서 전북의 탄소산업 육성이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탄소산업진흥원도 그동안 산발적으로 진행된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차원에서 종합적인 탄소산업 육성전략 마련을 마련해야 한다며, 설립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 법안에는 원천기술 개발과 상용화,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위한 진흥원 설립의 내용을 담고 있다.

탄소소재법이 통과되면 전북이 국내 최고 탄소산업 육성기반을 구축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기반도 마련된다.

이에 전북도는 탄소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촉구하는 한편, 정치권의 협조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정부가 최근 6개 분야 100대 핵심 부품부품기업 지원대책을 발표하면서, 탄소소재 산업도 포함됐다”면서 “이를 계기로 탄소소재진흥원 법을 반드시 통과시키기 위해 정부와 정치권 설득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전북중앙신문(http://www.jj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