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보도자료

"전북이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최적지"(전북일보 2017.07.12 )
관리자 | 2017-08-10 | 조회 3045
 
▲ 12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탄소산업 육성 및 발전방안 모색 정책토론회에서 송하진 도지사와 정운천 국회의원을 비롯해 장병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 주호영 의원, 김병관 의원,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김승수 전주시장 및 토론자들이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전북도
 

자치단체와 기업연구소 등 각계에서 자발적으로 추진되는 국내 탄소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전략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국가차원 전략을 추진할 ‘탄소산업진흥원’ 설립이 조속히 실현돼야 하며, 그 대상지로는 전북이 최적지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 정은미 산업경쟁력연구본부 본부장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대한민국 탄소산업의 육성전략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 본부장은 “탄소산업 선진국들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중장기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산업화 적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과 산-학-연을 연계한 탄소소재와 응용제품 개발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하지만 국내의 현실은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미래 먹거리라 불리는 탄소산업의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이 떨어지고, 세계시장 진입과 수출확대의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국내 탄소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종합계획을 수립해 주체별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분야별 정책을 산업 전체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전략의 정교화를 위해 종합적 컨트롤 타워 기능을 할 탄소산업진흥원 설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준경 KIST 전북분원장도 “우리나라가 탄소분야 기술개발에서 선진국을 따라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시장을 활성화할 만큼 획기적인 기술개발은 미미하다”며 “가치사슬(Value Chain)이 자생적으로 생성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에 의한 규모 있는 생태계 구축사업을 통해 이를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국내 탄소산업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할 탄소산업진흥원의 입지로 전북이 최적지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인하대학교 화학과 박수진 교수는 “인프라 집적도, 연구개발 노하우 등이 가장 잘 축적된 전북을 중심으로 탄소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기존 인프라와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전북에 꼭 설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 앞서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축사에서 “전북은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탄소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해왔고, 전국에서 기반이 가장 잘 갖춰져 있다”며 “탄소산업의 씨를 뿌린 전북도가 세계적인 탄소밸리로 도약해 대한민국의 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 전문가 여러분의 아낌없는 지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정운천 국회의원(전주을·바른정당)은 “주력산업들의 구조조정으로 경기침체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탄소산업은 전북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을 대체할 주력산업”이라며 “이번 토론회가 탄소산업이 전북만의 미래 먹거리가 아닌 대한민국 대표산업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중지를 모으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정책토론회는 정운천·조배숙 국회의원을 비롯한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여야의원 11명이 공동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전북도, 전주시, 한국탄소학회, 탄소융합산업연구원, KIST 전북분원, 전북테크노파크,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공동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