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보도자료

전북 '탄소'를 미래 신성장산업으로-전북일보 2017.08.24
관리자 | 2017-08-24 | 조회 2909
- 탄소소재법 제정되며 / '미래 동력' 토대 마련 / 정부-지방 힘 합쳐야
   
▲ 김병관 국회의원
 

2016년 다보스 포럼(Davos Forum)이라 불리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향후 세계가 직면할 화두로 ‘4차 산업혁명’을 던졌다. 당시 WEF의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쓰나미와 같다”고 표현하며 3차 산업혁명과는 속도, 범위, 체제에 대한 충격의 세 측면에서 확연히 다를 것임을 강조했다. 더욱이 지난 1~3차 산업혁명과는 달리 새롭게 다가올 산업혁명은 모든 국가, 모든 산업 분야에서 이루어지며 결국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영향력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에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은 자국의 강점을 살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데 만전을 기하고 있다. 즉 독일은 제조업 기반, 일본은 로봇 기반, 미국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반 전략으로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다.

우리도 이번 제19대 대통령선거를 치르면서 한국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4차 산업혁명이 화두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공약으로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설치를 필두로 세계가 직면한 4차 산업혁명에 의한 거대한 산업재편과 일자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산업을 선점하면서 새롭고 좋은 일자리도 창출될 수 있도록 혁신적 지원을 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국가적 차원에서 역량과 지혜를 모아 준비하고 방안을 마련하여 성장동력이 넘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한 것이다.

필자도 4차 산업혁명과 신성장 산업부문 현장 및 학계 전문가 40여명과 함께 우리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재평가하고 비전제시를 위해 올 초에 당 차원에서 발족한 ‘신성장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아 산업생태계를 집중 검토하면서 국가 수준의 플래그십 프로젝트 발굴과 관련 정책개발에 주력한 바 있다.

또한 필자는 4차 산업혁명과 신성장 동력을 고민하면서 미래산업의 하나로서 전라북도가 역점을 두고 있는 탄소산업에 주목한다. 지난 7월 12일 필자를 포함하여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이 공동으로 ‘대한민국 탄소산업의 육성전략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신성장동력의 하나인 탄소산업에 대하여 다양한 지원책 등을 모색하였다.

전라북도와 전주시는 지난 2006년부터 탄소산업을 지역차원에서 미래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선도적으로 육성해 왔다. 또한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라북도와 전주시는 ‘탄소산업과’ 설치를 비롯하여 2015년에 국내 최초로 탄소산업 육성조례를 제정하면서 탄소산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책도 마련하였다. 관련 인프라로써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KIST 전북분원, R&D 중심의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제품을 생산하는 탄소공장 등 탄소산업 육성기반이 집적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강점도 갖추고 있다.

한편, 2016년에 ‘탄소소재법’이 제정되면서 대한민국 신성장산업으로 탄소산업이 발전할 토대가 마련되었다. 부품신소재산업으로서 탄소산업이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하여 산업의 확장성과 미래성장의 전망을 밝히는 주역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정부는 물론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지역별 미래산업 육성과 발전에 손을 맞잡고 힘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바야흐로 대격변의 시기이다. 우리는 미래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 정부와 민간의 역할, 예산 등이 효율적으로 결합하고 맞춤형 지원책이 마련되어 전라북도를 포함한 각 지방별 미래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켜야할 것이다. 특히 탄소산업은 전라북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미래성장 산업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고 desk@jja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