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보도자료

[탄소산업 10년, 무엇이 필요한가 ① 발자취] 선도적 연구·개발로 국가산업 발돋움-전북일보 2017.10.10
관리자 | 2017-10-18 | 조회 3208

[탄소산업 10년, 무엇이 필요한가 ① 발자취] 선도적 연구·개발로 국가산업 발돋움

융합기술원-효성, 공동연구로 T700 개발 / 탄소진흥원 설립근거 담은 법 개정안 발의 / 국가산단 조성사업 예타통과 사실상 확정


 

전북이 탄소산업 육성을 시작한 지 10년이 지났다. 전북은 지난 2006년 전국 각 자치단체들의 미래 먹거리 육성을 위한 산업발굴이 치열할 때 블루오션인 탄소산업을 선택했다. 전북은 반도체 산업 이후 미래먹거리로 육성이 가능한 탄소의 특성에 주목해 탄소소재 개발과 장비·연구소 구축 등에 공을 들여왔다. 어느덧 전북의 탄소산업은 지역산업에서 국가산업으로 전환되는 전기가 마련됐다.

하지만 전북의 탄소산업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선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담당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는 탄소산업을 집중 육성할 전담부서가 없다.

또 후발주자인 경북이 전북의 탄소종가(宗家)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북 같은 경우 탄소 R&D 규모는 전북에 뒤처지지만, 탄소를 산업화할 수 있는 기업인프라를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전북이 10년 동안 육성한 탄소산업이 100년 먹거리로 갈 수 있을 것인가? 탄소산업의 성과와 문제점, 그리고 대안을 세 차례에 거쳐 짚어본다.

△T-300급과 T-700급 탄소섬유 개발= 전북 탄소산업의 최대 강점은 연구와 개발 분야다. 한국탄소융합기술원과 (주)효성은 공동연구를 통해 지난 2009년 T-300급의 탄소섬유 연구개발에 성공했다. T-300은 건축,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저가용 탄소섬유다.

한국탄소융합술원과 (주)효성은 3년 후인 지난 2011년 중성능 탄소섬유인 T700급 개발에 성공했다. 철을 대체할 수 있는 T700급 탄소섬유는 항공기 1·2차 구조물, 자동차 외장재(선루프·후드·도어)와 섀시(드라이브 시프트 등), 공기 없는 타이어, 풍력 터빈 블레이드, 교량, 선박 소재 등은 물론 골프채, 라켓, 서핑보드 등에도 두루 쓰인다.

이들이 국내 최초 순수 우리기술로 T-700급 탄소섬유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탄소소재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탄소관련 법안 제정= 전북의 탄소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탄소산업 육성을 국가 차원에서 이끌어나갈 수 있는 제도적 근간이 마련됐다. 바로 지난해 5월 ‘탄소소재 융복합 기술 개발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이하 탄소법)이 우여곡절 끝에 통과됐다. 이로써 탄소산업을 주도해 온 전북도는 대형 예타사업인 ‘메가 탄소밸리 조성사업’ 타당성 통과와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사업’등 핵심사업의 추진동력을 확보했다.

그러나 당시 통과된 탄소법은 전북이 탄소산업을 육성한 이후 줄기차게 요구된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의 국립화와는 거리가 있었다. 이에 추후 탄소법 개정 단계에서 탄소산업진흥원을 설립할 수 있는 조항을 추가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그러던 중 올 8월 바른정당 정운천 의원이 ‘한국탄소산업 진흥원’설립 근거를 담은 ‘탄소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 법안에는 한국탄소산업 진흥원 설립의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진흥원이 탄소산업 관련 정책·제도의 연구·조사·기획, 실태조사 및 통계작성,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지원, 제품표준의 개발·보급 등 탄소산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전주탄소국가산단 구축= 전북도는 지난달 28일 ‘전주 탄소소재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타통과가 사실상 확정됐다고 밝혔다. 도는 KDI가 전주탄소산단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최종 관문인 예비타당성조사 종합평가(AHP)에서 0.582를 획득했다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BC 1이상 AHP 0.5이상일 경우 사업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전주탄소산단 조성사업은 전주시 덕진구 동산동과 고랑동 일대에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680억원(산단도로공사비 480억 원 제외)을 들여 탄소산업 집적화 단지 63만 8485㎡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현재 134개 기업이 입주의향서를 제출했으며, 1827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김세희 기자  |  saehee0127@jjan.kr / 등록일 : 2017.10.10  / 최종수정 : 2017.10.10  23: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