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보도자료

한국탄소기술원, 탄소소재로 고속열차 승객 캡슐 개발(뉴시스 2017-02-20)
관리자 | 2017-08-10 | 조회 2835

한국탄소기술원, 탄소소재로 고속열차 승객 캡슐 개발


associate_pic

【전주=뉴시스】윤난슬 기자 = 하이퍼튜브 모형.(자료사진)

【전주=뉴시스】윤난슬 기자 = 전북 전주시가 고강도·초경량 미래소재인 탄소소재를 활용해 비행기보다 빠른 신개념 고속열차 승객 캡슐 개발에 나선다.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은 20일 울산과학기술원과 탄소산업 상용화 확대를 위해 차세대 교통수단인 '하이퍼루프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퍼루프는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계인 테슬라(TESLA)사의 엘론 머스크 최고경영자가 고안한 것으로, 공기저항을 없앤 진공터널 안에서 열차를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운행해 비행기는 물론 KTX보다 4배 정도 빠른 1200㎞로 달리는 차세대 이동수단이다.


 양 기관은 초고속 운송수단과 탄소섬유 복합재, 3D프린팅 등 각 기관별 특화·주력하고 있는 차세대 수송기기 관련 분야의 상호 교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하이퍼루프 관련 기술 및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기술개발과 상호 정보교환, 인적·학술교류를 통한 공동연구를 꾸준히 진행할 계획이다.

 기술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탄소산업을 선도해온 기술원이 차세대 운송수단인 하이퍼루프까지 탄소산업의 활용분야를 확장함으로써 전주가 세계적인 탄소산업도시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철보다 4배 강하면서도 무게는 10분의 1에 불과해 자동차와 열차, 비행기 동체 등 차세대 최첨단 소재로 인정받고 있는 탄소소재 개발 및 국산화를 위해 탄소산업을 적극 육성해왔다.

 정동철 한국탄소융합기술원장은 "탄소소재는 초경량, 초고강도의 장점을 살려 운송수단에 가장 적합한 소재로 자동차와 항공기 등 교통수단에는 이미 상용돼 연비상승, 환경오염문제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며 "탄소섬유를 차세대 운송수단인 하이퍼루프에 접목해 신성장산업에도 탄소가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ns4656@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