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소재 첨단산업 연구개발‘돛 올렸다'
관리자 | 2010-10-20 | 조회 2731
탄소소재 첨단산업 연구개발‘돛 올렸다'
국내 첫 국제탄소연구소 개관…미국-일본-독일 공동연구 양해각서 체결도
국제탄소연구소 개관식이 열린 19일 강신재 전주기계탄소기술원장(왼쪽)이 김완주 지사를 비롯한 참석자들에게 탄소복합재 차량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탄소섬유와 탄소나노튜브(CNT)등 첨단산업분야를 전문연구하는 국제탄소연구소가 국내 처음으로
전주에 문을 열었다. 전주시와 전주기계탄소기술원은 19일 팔복동 도시첨단산업단지에서 ‘국제탄소연구소’(글로벌카본플라자) 개관식을 가졌다. 연구소는 향후 탄소섬유 원천기술 및 개발, 선진국과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연구를 비롯해 일본, 미국, 독일등과 공동연구를 추진케 된다.
이를 위해 연구소는 국제연구소 12개소(해외 8개소, 국내 4개소) 가운데 독일 프라운호퍼 ICT연구
소, 미국 텍사스주립대 나노연구소, 일본 니시노연구소 등 3개 연구소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공동연
구개발에 손을 잡았다. 양해각서체결은 앞으로 선진기술의 조기확보 및 산업화, 연구인력 양성에 도
움이 될 전망이고, 선진국이 보유한 첨단기술력의 조기확보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9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된 연구소는 부지 1,541㎡에 지상 4층, 연면적 2,373㎡ 규모로 건립됐다. 전
주기계탄소기술원이 참여하는한·일 나노탄소연구실, 한·미 나노탄소연구실, 한·독 탄소복합재료연구실 등 3개 공동연구실을 비롯해 첨단부품소재 기업이 참여하는 한·일 에너지재료연구실 등이 입주한다.
여기에 탄소 홍보전시·영상관, 비전관, 세미나실, 게스트룸 등을 갖춰 탄소밸리 구축사업에 대한 이
해와 탄소응용제품을 관람할 수 있는 장도 마련됐다.
앞으로 연구소는 탄소복합 부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 공정 기술개발, 저가 탄소나노재료 및 응용부품개발,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신기술 개발, 나노기술기반 친환경 유기 태양전지용 탄소소재 대
량생산 기술 개발 등에 나설 전망이다. 강신재 전주기계탄소기술원장은 “국제탄소연구소는 탄소소재 핵심 기술 축적 뿐 아니라 국내외 연구 집단 간 교류의 주요핵심창구 역할을 할 것”이라며“탄소밸리 구축사업과 연계 활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개관식엔 김완주 전북 도지사를 비롯해 송하진 시장 등 120여 명이 참석했고, 오후엔 탄소
분야 석학들이 참가하는‘탄소소재원천기술 국제세미나’가 진행됐다.
전주에 문을 열었다. 전주시와 전주기계탄소기술원은 19일 팔복동 도시첨단산업단지에서 ‘국제탄소연구소’(글로벌카본플라자) 개관식을 가졌다. 연구소는 향후 탄소섬유 원천기술 및 개발, 선진국과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연구를 비롯해 일본, 미국, 독일등과 공동연구를 추진케 된다.
이를 위해 연구소는 국제연구소 12개소(해외 8개소, 국내 4개소) 가운데 독일 프라운호퍼 ICT연구
소, 미국 텍사스주립대 나노연구소, 일본 니시노연구소 등 3개 연구소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공동연
구개발에 손을 잡았다. 양해각서체결은 앞으로 선진기술의 조기확보 및 산업화, 연구인력 양성에 도
움이 될 전망이고, 선진국이 보유한 첨단기술력의 조기확보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9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된 연구소는 부지 1,541㎡에 지상 4층, 연면적 2,373㎡ 규모로 건립됐다. 전
주기계탄소기술원이 참여하는한·일 나노탄소연구실, 한·미 나노탄소연구실, 한·독 탄소복합재료연구실 등 3개 공동연구실을 비롯해 첨단부품소재 기업이 참여하는 한·일 에너지재료연구실 등이 입주한다.
여기에 탄소 홍보전시·영상관, 비전관, 세미나실, 게스트룸 등을 갖춰 탄소밸리 구축사업에 대한 이
해와 탄소응용제품을 관람할 수 있는 장도 마련됐다.
앞으로 연구소는 탄소복합 부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 공정 기술개발, 저가 탄소나노재료 및 응용부품개발,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신기술 개발, 나노기술기반 친환경 유기 태양전지용 탄소소재 대
량생산 기술 개발 등에 나설 전망이다. 강신재 전주기계탄소기술원장은 “국제탄소연구소는 탄소소재 핵심 기술 축적 뿐 아니라 국내외 연구 집단 간 교류의 주요핵심창구 역할을 할 것”이라며“탄소밸리 구축사업과 연계 활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개관식엔 김완주 전북 도지사를 비롯해 송하진 시장 등 120여 명이 참석했고, 오후엔 탄소
분야 석학들이 참가하는‘탄소소재원천기술 국제세미나’가 진행됐다.
- 새전북신문(2010년10월20일수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