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보도자료

사업 4년만에 국책사업 반열에
관리자 | 2010-08-11 | 조회 2732
김완주 지사를 비롯해 송하진 전주시장, 임정엽 완주군수 등 도내 산·학·연·관 기관장들이 10일 오전 도청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전주권 탄소밸리 구축사업안이 정부의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과해 국책사업 반열에 올랐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사업 4년만에 국책사업 반열에

 

 

 

전주권 탄소밸리 구축사업안이 정부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과해 사업착수 4년여 만에 국책사업 반열에 올랐다. 상용 탄소섬유 국산화를 목표로 한 국내 첫 시도로 전주권이 탄소산업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전북 탄소산업의 현주소와 과제를 짚어봤다.
△탄소섬유 상용화 눈앞=10일 지식경제부와 전북도가 공동 발표한 탄소밸리 구축사업안은 전주와 완주를 중심으로 탄소섬유(Carbon Fiber) 국산화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시설을 갖추자는 게 핵심이다. 향후 5년간(2011~15년) 총1,991억원을 투자토록 계획됐다.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태워 탄소만 남긴 섬유를 뜻한다.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면서 강철보다 강한 특징을 지녀 낚싯대부터 자동차와 항공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상용화 기술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8년 수입 규모만도 약 6,821억원(16만톤)에 달했다. 전주권 탄소산업이 주목받는 이유다. 전주권 탄소산업은 2006년 국내 첫 전문 연구기관인 전주기계탄소기술원이 설립된 뒤 급부상했다. 현재 효성그룹과 금호석유화학, 데크, KCR, KM 등 민간기업이 합류하면서 약 2,500억원을 투자해 시험생산라인을 가동 중이다. 강신재 탄소기술원장은“앞으로 2~3년 안에 원소재부터 완제품까지 첫 국산 상용제품이 생산될 것 같다”고 말했다. 상용기술 수준에 대해선“레저용품이나 자동차 등에 쓸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 중 략 ~~~~

 
 
△CNT개발 선결해야=그러나 앞으로 남겨진 과제도 만만치 않다. 당장 수입산보다 저렴한 저가형 공정기술을 개발하는 게 선결과제로 떠올랐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현재 탄소섬유 국제가는 1㎏당 4만 원선, 전주탄소기술은 이보다 60% 이상 싼 1만5,000원 정도로 낮춰야만 국산화가 가능하고 상용시장도 확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완성차사들이 고급 수입차의 검은색 탄소섬유 지붕을‘흉내’ 낸 강화플라스틱 복합소재 지붕을 얹힌 승용차를 생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비싼 탄소섬유 대신 저렴하면서 주행 안전성과 연비개선
등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대용품을 찾은 셈이다. 특히 일본과 미국 등 선진국이 주력중인 탄소나노튜브(CNT) 등 차세대 탄소섬유 융복합소재 기술을 따라잡는 것도 과제다. CNT는 강철보다 100배이상 강하면서 빛까지 발산해 2차전지 저장용기 등 활용분야가 넓은 부품소재의‘팔방미인’으로 불린다. 하지만 이번 전주권 탄소밸리 구축사업안에선 제외됐다. 예타 평가 결과 전북권 기술력과 투자유치력등을 종합해보면 탄소섬유와 CNT까지 한꺼번에 개발하기란 역부족이란 결론이 도출됐기 때문이다. 강신재 탄소기술원장은“탄소섬유에 머물러선 세계와 경쟁할 수 없다. CNT 전문기업을 유치해서라도 차세대 융복합소재 개발에 합류해야만 전주권이 탄소산업 허브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