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 4년만에 국책사업 반열에
보도자료
사업 4년만에 국책사업 반열에
전주권 탄소밸리 구축사업안이 정부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과해 사업착수 4년여 만에 국책사업 반열에 올랐다. 상용 탄소섬유 국산화를 목표로 한 국내 첫 시도로 전주권이 탄소산업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전북 탄소산업의 현주소와 과제를 짚어봤다.
△탄소섬유 상용화 눈앞=10일 지식경제부와 전북도가 공동 발표한 탄소밸리 구축사업안은 전주와 완주를 중심으로 탄소섬유(Carbon Fiber) 국산화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시설을 갖추자는 게 핵심이다. 향후 5년간(2011~15년) 총1,991억원을 투자토록 계획됐다.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태워 탄소만 남긴 섬유를 뜻한다.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면서 강철보다 강한 특징을 지녀 낚싯대부터 자동차와 항공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상용화 기술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8년 수입 규모만도 약 6,821억원(16만톤)에 달했다. 전주권 탄소산업이 주목받는 이유다. 전주권 탄소산업은 2006년 국내 첫 전문 연구기관인 전주기계탄소기술원이 설립된 뒤 급부상했다. 현재 효성그룹과 금호석유화학, 데크, KCR, KM 등 민간기업이 합류하면서 약 2,500억원을 투자해 시험생산라인을 가동 중이다. 강신재 탄소기술원장은“앞으로 2~3년 안에 원소재부터 완제품까지 첫 국산 상용제품이 생산될 것 같다”고 말했다. 상용기술 수준에 대해선“레저용품이나 자동차 등에 쓸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 중 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