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활용으로 탄소소재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다
- 제 3회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테크 포럼’ 개최 - |
□ 한국탄소산업진흥원(원장 방윤혁)은 지난 13일 ‘제 3회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테크포럼’을 개최했다.
ㅇ 이 포럼은 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탄소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고 탄소소재 활용 및 저변
확대를 위해 기획한 것으로, 지난 4월부터 △2050 탄소중립 추진 방향과 과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환경인증 등을 주제로 진행해왔다.
□ 에너지・화학, CCS 등 분야별 전문가 50여명이 참여한 이번 3차 포럼에서는 “CCUS(Carbon Capture, Uti-
lization and Storage) 국내외 기술현황 및 탄소산업으로의 확장가능성”을 주제로 국내외 CCUS 기술현황을
공유하고, 산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자원화 및 탄소산업으로의 연결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초점이 맞
춰졌다.
ㅇ 롯데케미칼 이노베이션센터 이상중 책임연구원은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CO2 포집 및 실증 사례’를,
국내 최초 CO2 포집・수송・액화・저장의 전주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에이원 대표는 생산이 종
료된 울산 동해가스전을 재활용해 저비용의 블루수소 및 그린수소 생산이 가능한 중규모 CCS 기술
실증 사례를 소개했다.
ㅇ 이날 포럼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CO2 포집 기술인 KIERSOL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기술상
용화 추진 현황 등에 대해 이상중 책임연구원이 발표를 맡았으며, 한국과학기술원 이성호 박사가 CO2
및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탄소소재 기술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ㅇ 이성호 박사는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고부가 전환・활용하는 CCU 기술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신산업
분야”라며, 탄화배출가스의 탄소소재 전환에 적합한 촉매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방윤혁 원장은 “CO2를 포집・저장하는 수준을 넘어 미래 성장동력이 되는 소재자원
으로 만들어가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대한민국의 지속가능성장을 가속화 하는
데 탄소소재 산업이 기여할 수 있다”며 향후 탄소소재 기반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모색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제3회 탄소중립 테크포럼_211013_F.hwp (1.2 MB) / 다운로드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