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복합재 응용제품 신뢰성 확보 길 열어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탄소소재 신뢰성센터 개관 - |
□ 한국탄소산업진흥원(원장 방윤혁)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원장 조영태)은 지난 12일 탄소복합재 제품에 대한 시험・평가 및 인증을 위해 국제표준 개발에 적합한 최신 장비를 갖춘『탄소소재 신뢰성센터』를 개관하였다.
ㅇ 탄소소재 신뢰성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북도, 전주시의 지원을 받아 총 사업비 223억원*을 들여 조성되었으며, 전주 친환경첨단복합산업단지 내 부지 6,452㎡, 연면적 4,760㎡ 규모로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신뢰성평가동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실증평가동을 각각 건립하고, 46종의 시험장비를 구축하는 등 탄소소재 및 응용부품의 품질검증을 통한 산업 확대를 위해 추진되었다.
*국비 80억원, 전라북도 51.2억원, 전주시 61.8억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15억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15억원
ㅇ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신뢰성 평가동에는 항공우주, 모빌리티・해양 분야의 탄소복합재 특성 및 부품 평가를 위한 21종의 장비가 들어섰으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실증평가동에는 건설・생활안전 및 레저분야에서의 탄소복합재 부품 및 제품 안전성 평가 등을 위해 25종의 최신 장비가 들어섰다.
□ 이번 탄소소재 신뢰성센터 개관으로 탄소융복합 소재・부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 평가가 가능해져 탄소복합재 분야 중소·중견 기업들의 신기술 개발을 촉진 및 탄소융복합 소재・부품의 국제표준개발 등의 기반이 마련돼 기업이 개발한 기술에 대한 상용화 및 국제 판로개척 등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ㅇ 특히, 신뢰성센터 개관에 앞서 진행되었던「탄소산업기반조성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 등에 대한 실증・평가도 가능해져 기술개발, 실증, 사업화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게 되었다.
ㅇ 전라북도와 전주시는 지난 2011년부터 「탄소산업기반조성사업」의 1단계 추진사업으로 탄소섬유 생산기술 및 공정설비 개발 등을 골자로 하는 탄소밸리 구축을 완료하였고, 2단계 사업으로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 등 2단계 탄소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 또한 신뢰성평가를 위한 장비 구축을 통해 탄소소재・부품과 관련한 국내외 시험인증 획득을 자체적으로 진행 가능해져 기업이 개발한 기술에 대한 시험인증 기간 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까지도 창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ㅇ 탄소소재가 이차전지, 연료전지 및 수소저장용기 등의 주요 소재로 활용되고 있어 탄소융복합 산업이 수소・전기차, 신재생 에너지 분야 등 친환경・스마트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ㅇ 이번 신뢰성 평가 장비 구축으로 관련 기술의 국내외 시험평가 및 인증 등 품질 평가 시스템이 갖춰져 기술개발 및 상용화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방윤혁 원장은 “탄소소재 신뢰성센터 개원을 계기로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탄소소재 융복합산업 발전 전담기관으로서 탄소산업 사업기획·인력양성·창업지원 뿐만 아니라 탄소융복합 기업의 제품개발을 위한 기술·서비스 실증지원까지 폭 넓게 지원함으로써 탄소산업의 역량을 제고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한 걸음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ㅇ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조영태 원장은 “앞으로 한국탄소산업진흥원과 함께 탄소소재 신뢰성센터가 대한민국 탄소산업 발전을 위한 메카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기업들이 인증기관의 부재로 인한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_보도자료] 탄소소재 신뢰성센터 개관.hwp (13.7 MB) / 다운로드 :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