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신소재 ‘질화붕소나노튜브’ 항공우주에 응용한다
관리자 | 2020-08-11 | 조회 1892
韓 ‘내일테크놀로지’ 포함 4개국만 확보… 원자력 기술 접목키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우리나라 포함 전세계 4개국만 만들 수 있는 소재 ‘질화붕소나노튜브(BNNT)’를 활용해 우주선이나 우주복의 방사선 차폐 소재 등을 개발하기로 했다.
원자력연은 지난 31일 국내 BNNT 생산업체 ‘내일테크놀로지’와 BNNT 기반 원자력 및 방사선 응용기술 개발 상호협력협약(MOU)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양 기관은 BNNT에 원자력 기술을 접목해 항공우주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 기술과 제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양 기관은 △나노신소재 공동 연구 △BNNT를 이용한 원천 산업 신소재 공동개발 △기술정보 교류 △연구장비와 시설공유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BNNT는 탄소나노튜브(CNT)보다 열이 잘 통하고 탄성과 강도가 높아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전기차 절연·방열 소재, 우주공간의 방사선을 막아주는 차폐 소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BNNT
제조기술을 갖춘 국가는 우리나라의 내일테크놀로지를 포함해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전세계 4개국 기업뿐이다.
박원석 원자력연 원장은 "BNNT를 방사선 분야에 접목하는 등 신소재 분야 산업의 확장에 함께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재우 내일테크놀로지 대표도 "향후 미래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나노신소재"라며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겠다"고 했다.
원자력연은 지난 31일 국내 BNNT 생산업체 ‘내일테크놀로지’와 BNNT 기반 원자력 및 방사선 응용기술 개발 상호협력협약(MOU)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양 기관은 BNNT에 원자력 기술을 접목해 항공우주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 기술과 제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양 기관은 △나노신소재 공동 연구 △BNNT를 이용한 원천 산업 신소재 공동개발 △기술정보 교류 △연구장비와 시설공유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BNNT는 탄소나노튜브(CNT)보다 열이 잘 통하고 탄성과 강도가 높아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전기차 절연·방열 소재, 우주공간의 방사선을 막아주는 차폐 소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BNNT
박원석 원자력연 원장은 "BNNT를 방사선 분야에 접목하는 등 신소재 분야 산업의 확장에 함께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재우 내일테크놀로지 대표도 "향후 미래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나노신소재"라며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겠다"고 했다.